이동제약자 교통권 확보를 위한 레퍼런스강서구 빅데이터 분석 사업 : 장애인 셔틀버스 노선 분석 (2019)
REFERENCE BACKGROUND
레퍼런스 배경
2003년 등록된 대한민국의 장애인구는 173만명이며 이는 전체 인구의 3.6%에 달하는 수치이며
장애인은 거동이 어려운 노인과 어린이, 임산부 등과 더불어 대중교통 이용과 도로보행에 불편을 겪고 있는 ‘이동제약자’이다.
2004년 사회복지체계 구축 및 참여정부의 대 국정 과제 중 하나인
참여복지와 삶의 질 향상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된 설문조사에 의하면
장애인의 약 40%와 노인의 33%가 원하는 만큼 외출을 하지 못하고 답변해 교통약자가 겪는 불편이 여전히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동제약자에 속하는 장애인과 노인의 외출충족도가 현저히 떨어짐
ANALYSIS GOAL
분석 목표
장애인 및 어르신 인구가 많은 지역 토대로 대략적인 버스 정류장 예상 설치지역 도출
장애인 및 어르신 시설 배치를 감안해 버스정류장 예상 설치지역을 조정
기존의 노선과 실제 도로사정을 감안해 버스정류장과 버스노선의 설치지역 제안
ANALYSIS INDEX
분석 지표
교통사고 밀집구역
고령인구
버스이용점수
기존 셔틀버스 노선
ANALYSIS PROCESS
분석 프로세스
• 기존버스노선
• 장애인인구
• 고령인구 등
•장애인, 어르신시설 밀도 대비 기존 셔틀버스 노선도 분석 • 공간단위 버스정류장 분석
버스정류장 예정지역 도출
DERIVED REFERENCE
도출된 레퍼런스
-
MERITS 01
장애인구,노인인구 데이터 시각화
-
MERITS 02
교통 취약계층 버스이용점수 도출
-
MERITS 03
무료 셔틀버스 신규노선 선정 시 수요와 공급정책을 만족하는 최적의 노선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