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발전을 위한 대중교통 인프라 레퍼런스 전주시 대중교통 현황 빅데이터 분석 (2018)
REFERENCE BACKGROUND
레퍼런스 배경
최근 국제사회는 교통에 투자하는 정도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실질적 효과에 주목해
교통 인프라와 지역발전을 새로운 연구 아젠다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일각에서는 교통인프라 정책이 단순히 수요를 따라가는 것에서 벗어나
국가 전체의 균형발전과 모든 주민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교통·통행취약지역' 지도를 제작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정부는 교통취약지역 거주민을 위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거주민의 실질적 이동권 보장과 균형발전을 위한
교통 인프라 분석 필요성 증대
ANALYSIS GOAL
분석 목표
교통카드 기반
행정동 교통O-D 추정 분석
대중교통 이용접근 취약지역
서비스 취약지역 분석
버스정류장별
환승정보 분석
ANALYSIS INDEX
분석 지표
행정동간 교통O-D와
버스운행 횟수 비교 취약구간
주민등록인구 기반 취약지역과
유동인구 기반 취약지역
정류장별 환승 승차와
환승탑승 대기 평균시간
ANALYSIS PROCESS
분석 프로세스
• 버스운행 정보
• 정류장 정보 등
• 따듯한 서울
• 꿈꾸는 서울
• 숨쉬는 서울
• 신규주제
• 모니터링을 통한 신속한 정책 반영
• 데이터 기반의 지역 맞춤형 정책수립 기원
DERIVED REFERENCE
도출된 레퍼런스
균형발전정책 지표 제시
-
MERITS 01
전주시 시내버스 노선개편 후 변화된
대중교통 수요 분석 -
MERITS 02
맞춤형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및 합리적
정책 수립 반영 -
MERITS 03
정책활용 가능
-
MERITS 04
실무자 업무 효율 증대
-
MERITS 05
다양한 기능을 통한 손쉬운 사용
-
MERITS 06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