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소외계층인 지역 거주민의 문화 빈곤 문제를 위한 레퍼런스 지역 문화생활 SOC 정책 활용을 위한문화 서비스 분석 (2019)
REFERENCE BACKGROUND
레퍼런스 배경
의•식•주와 더불어 문화생활을 기본 권리에 포함시키는 것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세계적인 현상이다.
지난 정보는 ‘문화 융성‘을 국정기조로 지정해 문화재정을 2%까지 확대했으며
매월 마지막 수요일을 ‘문화가 있는 수요일’로 지정했으며 현 정부 역시 문화생활을 보장하는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여전히 문화생활을 향유하지 못하는 국민이 많으며 이런 세대나 현상을 ‘문화 빈곤‘이라 명명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생활 취약계층은 지역민, 저소득층, 노인층, 장애인층이 대표적이다.
문화생활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문화생활을 향유하지 못하는 ‘문화 빈곤’ 계층이 존재함
ANALYSIS GOAL
분석 목표
문화생활 수요 분포와 공급 분포의 불일치에 따른 사각지대 도출 및 사각지대에 대한 정책 지원 방안 도출
ANALYSIS INDEX
분석 지표
부산지역 문화생활 분류별 수요도
부산지역 문화생활 분류별
공급력 분포
부산지역 문화생활 분류별
사각지대 분포
ANALYSIS PROCESS
분석 프로세스
• 문화시설 주소정제 및 좌표화
• 이동분포 MATRIX 구성 및 순유출·입 도출
• 문화 공급 분석
• 문화생활별 특징 도출
• 사각지대 유형화를 통한 문제 해결방향 제안
DERIVED REFERENCE
도출된 레퍼런스
-
MERITS 01
문화생활 수요-공급 불일치 지역 도출
-
MERITS 02
사각지대별 유형화를 통한 맞춤형 해결책
-
MERITS 03
각 문화생활 향유 집단별 특징 파악
-
MERITS 04
분석의 수요 결과를 고려한 문화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