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을 위한 레퍼런스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방향 설정 및 성과관리 기반 구축 (2018)
REFERENCE BACKGROUND
레퍼런스 배경
주거시설 노후화와 산업•상업시설의 이동으로 일자리가 감소하고
인구가 떠나 활력을 잃은 도시를 구도심이라고 부른다.
이런 구도심은 치안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다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바로 도시재생이다.
국내에 도시재생이 본격적으로 논의가 된 것은 2013년부터이며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법적•제도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미 활력을 잃은 도시를 다시 활성화시키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낙후 지역을 활성화시키는 도시재생 사업의 본격화
ANALYSIS GOAL
분석 목표
수원시 도시재생사업 필요지역 도출 및 진행중인 사업의 모니터링을 통한 성과관리
ANALYSIS INDEX
분석 지표
도시재생정보
유동인구
카드매출정보
쇠퇴현황
빈집 정보 및
건축물 노후도
ANALYSIS PROCESS
분석 프로세스
•SKT 자료
• 개별공시지가 등
• 분석자료를 활용한 도시쇠퇴 및 도시상업기능 쇠퇴/활성 지역 선정
• 도시재생사업 소지역 단위 모니터링
• 진행중인 사업의 모니터링을 통한 성과관리
DERIVED REFERENCE
도출된 레퍼런스
-
MERITS 01
수원시 도시재생사업 필요지역 도출
-
MERITS 02
도시재생사업 소지역 단위 모니터링을
통한 성과 파악 -
MERITS 03
쇠퇴현상 발생 지역의 특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