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균형발전을 위한 레퍼런스혁신도시 건설의 지역 활성화 효과 분석 (2017)
REFERENCE BACKGROUND
레퍼런스 배경
수도권 주변에 전체 인구의 50%가 몰리며 지방이 사라질 거라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나오고 있다.
‘지방소멸’이라는 미래를 피하기 위해 정부는 균형발전을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해 왔다.
특히 참여정부는 중앙행정기관을 지방에 이전하며 공공기관 지방 이전 사업인
혁신도시 사업을 과감히 시행했고 지자체는 더 많은 공공기관을 유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산•학•연 클러스터의 경우 입주율이 28%에 그치고
신규 고용 규모 역시 예상치인 13만 명에 비해 아주 적은 수인 1만1000명에 그치며
혁신도시 정책 실효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균형발전을 위해 시행한 혁신도시 정책의 부실한 실효성
ANALYSIS GOAL
분석 목표
혁신도시 건설의 유동인구 활용
지표 도출
혁신도시 건설의 카드매출 활용
지표 도출
혁신도시 건설의 유입인구 활용
지표 도출
활성화 지표의 시계열 추이 분석
ANALYSIS GOAL
분석 목표
표준편차
증감율
LQ
ANALYSIS PROCESS
분석 프로세스
• 유동인구 자료
• 유입인구 자료
• 매출정보 등
• 혁신도시 건설의 카드매출 활용 지표 도출
• 혁신도시 건설의 유입인구 활용 지표 도출
• 활성화 지표의 시계열 추이 분석
• 혁신도시 주변 도시의 유동인구 추이
• 혁신도시 주변 도시의 카드매출 변화 추이
DERIVED REFERENCE
도출된 레퍼런스
지표 제시
-
MERITS 01
혁신도시 건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객관적 지표를 통해 진단 -
MERITS 02
각 지역 특성에 맞는 해결방안 모색
-
MERITS 03
혁신도시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