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한 소방청 화재 취약 레퍼런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화재대응 취약지역 분석 (2018)
REFERENCE BACKGROUND
레퍼런스 배경
미국방화협회에 따르면 화재에서의 골든타임은 5-8분으로 골든타임 이내에 진압하지 못한 화재는
최성기(플래시오버)가 되며 사망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2010~2014년 서울시에 일어난 화재사건을 분석한 결과
실제로 골든타임 이내에 진압한 화재에 비해 그렇지 못한 화재는 사망자가 2배로 크게
증가했으며,
소방청 화재발생총괄표에 의하면 2015년 화재 사망자는 253명, 2016년은 306명, 2017년 345명으로 화재 사망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화재를 초기에 진압해 매년 증가하는 화재 사망자수를 줄이기
세이프티 레퍼런스 도출의 필요성 증대
ANALYSIS GOAL
분석 목표
출동시간 및 접수시간의 골든타임
대응 취약지역 분석
화재발생 핫스팟 지역에 대한
소방취약지역 분석
ANALYSIS INDEX
분석 지표
전국 소방서 5분 출동시간 기준
골든타임 영역
골든타임 영역 내 출동 및 접수
골든타임 시간 취약지
골든타임 영역 외 지역에 대한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
ANALYSIS PROCESS
분석 프로세스
국가화재정보
출동 및 접수 소요시간 정보
위치정보
화재발생지역 출동 및 접수 보간 분석
화재발생지역 밀집도 및 빈도 분석
화재빈도에 대한 취약지역 도출
DERIVED REFERENCE
도출된 레퍼런스
기초한 안전 정책수립
-
MERITS 01
전국 소방서 서비스 영역 분석을 통해
5분 골든타임 영역 파악 -
MERITS 02
신규소방시설 신설 위치 선정에 도움
-
MERITS 03
화재 취약지역에 대한 맞춤형
소방안전대책 추진 정책 활용 -
MERITS 04
골든타임 영역 이내이지만 실제 소방차
도착 시간이 늦는 영역내 취약지 분석 -
MERITS 05
화재 예방책 계획시,
영역내/외 취약지역 특성 고려